향교(鄕校)와 전교(典校)향교(鄕校)란 고려 조선의 지방 교육 기관으로 문묘(文廟)와 그에 속한 관립(官立) 학교로 중앙의 사부 학당과 같다.조선 중기 이후 서원(書院)이 발달 기능이 약화되었다.고려시대는 향학(鄕學)이라 불렀고, 중앙집권체제 강화를 위해 각 지방에 박사와 교수를 보내 인재를 교육한 것이 시초이다. 조선시대에는 기능이 강화되고 성종 때 전국 모든 군 현에 향교가 설치되었다. 설립목적은 인재를 길러 국가에 도움이 되는 관리를 키우고 불교 중심의 고려시대 문화에서 벗어나 유교 중심의 조선 건립이다.조선 시대에는 성균관 사부학당 향교 등의 교육 기관이 있었다. 향교는 유교 예절과 경전을 배우고 유현(儒賢)의 위패와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향교에서는 유현의 위패를 모시고, 음력 2월과 8월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