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원관광♣/나무나라

주목

충주시홍보대사/김광영 2011. 2. 20. 16:37
주목

 

 

 

 

 

 

▶식물명=주목

▶학명=taxus cuspidata

▶분류=겉씨식물 구과식물아강 구과목 주목과의 상록교목

 

 

▶주목

주목과의 상록교목. 높은 산에서 자란다. 높이 22 m, 지름 2 m에 달한다. 가지가 사방으로 퍼지고 큰가지와 원대는 적갈색이며 껍질이 얕게 갈라진다. 잎은 나선상으로 달리지만 옆으로 벋은 가지에서는 깃처럼 2줄로 배열하며, 나비는 2∼3 mm이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다. 잎맥은 양면으로 도드라지고 뒷면에는 가장자리와 중륵 사이에 연한 황색의 기공조선(氣孔條線)이 있다. 잎은 2∼3년 만에 떨어진다. 꽃은 잎겨드랑이에 달리고 1가화 또는 2가화이다. 수꽃은 6개의 비늘조각으로 싸여 있고 8∼10개의 수술과 8개의 꽃밥이 있다. 암꽃은 녹색이고 1∼2개씩 달리며 10개의 비늘조각으로 싸여 있고 8∼9월에 컵 같은 종의(種衣)로 싸여서 붉게 익는다.씨는 달걀모양이고 3~4개의 모가 있다.  개화기는 4월이고 결실기는 8~10월이다.  씨를 싸고 있는 붉은껍질을 '헛씨껍질'이라 하는데, 붉게 익으면 단맛이 나고 먹을 수 있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재목은 가구재로 이용한다. 종의는 식용하고, 잎은 약용한다.

▶종류

일본산으로 원줄기가 곧게 서지 않고 밑에서 여러개로 갈라지는 것은 눈주목(var. nana)이라고 하며, 잎이 보다 넓고 회색이 도는 것은 화솔나무(var. latifolia)라고 하며 울릉도와 북쪽에서 자란다.원줄기가 비스듬히 자라면서 땅에 닿은 가지에서 뿌리가 내리는 것은 설악눈주목(T. caespitosa)이라고 하며 설악산 정상 근처에서 눈잣나무와 같이 자란다.

▶효능

우리나라에서도 아주 예전부터 신장염, 부종, 당뇨병 등에 민간 약으로 써온 나무라고 합니다. 또 100년 넘게 자란 것이라야만 약으로 쓸 수 있고 오래 묵은 것일수록 약효가 더 높다고 합니다. 그러나 주목에는 독이 있으므로 많이 먹으면 해악을 일으키게 되므로 사용할 경우 주의를 필요합니다. 주목나무의 붉은 줄기에서 추출한 액은 궁녀들의 옷감에서 임금님의 곤룡포까지 옷감을 물들이는데 쓰였다 하는데요, 최근에는 껍질에서 추출한 파클리탁셀이라는 성분으로 미국 BMS사가 '택솔'이라는 항암제를 만들어 유명한 나무가 되었습니다. 택솔은 암세포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혈관을 막는 것으로 다른 치료제와 함께 사용해 말기암환자를 완치했다는 보고가 있을 정도로 효과가 뛰어나나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유방암, 난소암, 폐암, , 항균작용, 강심작용, 혈당강하작용, 진정작용, 이뇨작용, 신장병, 백혈병, 소변불리, 식적, 회충병, 신염부종, 이뇨, 소종, 지통, 기침, 동물체내의 종양, 생리통, 신경통, 당뇨병을 다스린다 은 diterpene류 화합물을 함유한다.  즉 택시닌(taxine)(자삼녕'紫杉寧'), 택시닌 A, 택시닌 H, 택시닌 L, 등을 함유하며 그 외에ponasterone A, ecdysterone, sciadopitysin을 함유한다.   목질부(木質部)와 껍질, 잎에는 탁신(C35 H51 NC10)을 함유한다.  줄기껍질 항백혈병 작용과 항종양 작용이 있는 택솔(taxol)을 함유한다.60년대 미국에서 개발돼 말기 암환자를 상대로 한 임상실험 결과 유방암 환자의 50%, 난소암 환자의 30%, 폐암환자의 25%가 치료되는 등 탁월한 효능이 입증된 바 있다  잎은  진정작용과 강심작용이 있다.   나무 줄기 또는 껍질을 민간에서는 기침약, 신경통 치료약으로 쓴다.

▶주의
작용은 탁신은 혈압을 내리고 심장의 운동을 느리게 하며 많은 양에서 확장기 정지를 일으킨다. 숨쉬기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나 심장기능이 약할 때에는 영향을 준다.  많은 양에서 탁신에 의한 중독사의 원인은 심장정지이다.  그리고 위장염을 일으킨다.  

주목에는 독이 있다.  종자는 조금 단맛이 있어 먹을 수 있지만 많이 먹으면 중독을 일으킨다.주목은 껍질을 사용하면 토하기 쉬우나 목질부와 잎을 사용하면 토하지 않는다."


 

'♣식물원관광♣ > 나무나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에서 유명한 나무들(1)  (0) 2011.02.23
[스크랩] 국보급 나무  (0) 2011.02.20
태백산 큰나무  (0) 2011.02.20
주목  (0) 2011.02.20
[세계 이름난 나무] 지구상 최고 고령나무  (0) 2011.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