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원 미륵리사지 석불입상/충주의 문화재 중원 미륵리사지 석불입상/충주의문화재 충주는 아름다운경관뿐만 아니라 중원문화의 고장으로 찬란했던 문화유산과 문화재가 많은 고장으로 이중 수안보 미륵리에 자리하고 있는 중원미륵리사지를 소개 하고자 한다. 중원문화권의 중심 충북 충주에서 동남쪽으로 33㎞ 거리의 .. ♣충주관광♣/문화소식·문화유적 2011.12.09
★ 충북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사지(彌勒里寺址) -사적 제317호- ★ ★ 충북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사지(彌勒里寺址) -사적 제317호- ★ (사지의 이름은 미륵대원터(彌勒大院址)로 고증되고 있답니다) 미륵리사지는 하늘재(寒喧嶺) 계립재(鷄立嶺) 새재(鳥嶺)에 둘러싸인 험준한 산골짜기 북쪽 기슭에 있는 절터로서, 창건 연대나 내력은 물론 사원.. ♣충주관광♣/문화소식·문화유적 2011.11.30
택견·줄타기·한산모시,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 택견·줄타기·한산모시,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 News1 문화재청 News1 택견과 줄타기, 한산모시짜기가 한국의 전통과 고유 문화를 알리는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에 새로 등재됐다. 문화재청은 28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제6차 유네스코 무형유산위원회에서 한국이 등재 .. ♣충주관광♣/문화소식·문화유적 2011.11.28
[ 명소 나들이 ] '관아공원'이 새로운 모습으로 바뀌었습니다. [ 명소 나들이 ] '관아공원'이 새로운 모습으로 바뀌었습니다. 충주우체국과 인접한 성내동 232-2번지 일대는 조선시대 충주목의 관아(官衙)가 남아 있는 곳으로, 1981년까지 중원군청 청사의 일부로 사용되기도 하였으며, 1983년 군청이 이전하면서 충주시에서 완전 해체하여 복원한 .. ♣충주관광♣/문화소식·문화유적 2011.11.22
중원지역 고대도시 구획시설 실체 확인 중원지역 고대도시 구획시설 실체 확인 < 탑평리유적 출토 백제, 고구려, 신라 유물 > 문화재청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는 오는 11월 10일 오전 11시, 충주 탑평리 유적(中原京 추정지) 발굴조사 현장에서 학계의 관련 전문가 자문회의와 함께 일반인을 대상으로 2011년도 발굴조사.. ♣충주관광♣/문화소식·문화유적 2011.11.11
[스크랩] ‘삶이 깃든 아름다운 우리 도자기’의 역사를 배울 수 있는 ‘박물관대학’ 운영 [ ‘삶이 깃든 아름다운 우리 도자기’의 역사를 배울 수 있는 ‘박물관대학’ 운영 ] 충주박물관, 9월부터 ‘박물관대학’ 운영 - 역사시대 도자기에 대한 교육과 전문 지식인 양성 - 충주시는 도자기에 대한 전문지식을 함양하고 역사시대별 도자기 특징에 대한 교육과 홍보.. ♣충주관광♣/문화소식·문화유적 2011.08.17
△예술의 극치 쌍사자 석등 △예술의 극치 쌍사자 석등 국보 제 5 호 쌍사자 석등은 천년 역사 속에 서 있다. 신라 성덕왕 때 조성된 것으로 높이 3,3m의 석등인데 두 마리 사자가 뒷발로 버티고 앞 발과 입으로 화사석을 받들고 있다. 두 마리 사자 입모양이 서로 다른데 입을 벌린 사자는 염불하는 모습이고 입을 다문 사자는 참선.. ♣충주관광♣/문화소식·문화유적 2011.06.11
순천 선암사 순치14년 명 동종/ 보물 1561호 순천 선암사 순치14년 명 동종/ 보물 1561호 선암사는 신라시대 아도화상의 ‘비로암’ 창건설과, 도선국사 창건설을 가진 사찰로서, 고려시대 대각국사 의천에 의해 중창되면서 천태종 전파의 중심사찰이 되었다. 경내에는 대각국사의 부도로 추정되는 보물 제1117호 ‘선암사대각암부도’ 등 보물 14.. ♣한국관광♣/한국문화 2011.05.13
경주 불국사 경주 불국사 불국사의 창건 역사 [편집] 불국사고금창기에 따른 창건역사 불국사고금창기(佛國寺古今創記)에 따르면 불국사는 신라시대 법흥왕 15년(528년)에 법흥왕의 어머니 영제부인(迎帝夫人)의 새로운 사찰의 건립 소원에서 비롯된다고 한다. 사찰 건립후 574년 진흥왕(眞興王)의 어머니인 지소부.. ♣한국관광♣/한국문화 2011.04.20
바람이 노닐고 구름이 머무는 '목계나루'에 강물빛 '문화'의 집을 짓다 바람이 노닐고 구름이 머무는 '목계나루'에 강물빛 '문화'의 집을 짓다 역사는 강물 위를 흘러 떠났지만.... 사람들 기억 속에는 잊혀지지 않는 소중함으로 그냥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수십 년 전.. 아직 육로가 발달하기 전에는 서울을 가기 위해서 육로 못지않게 내륙 뱃길을 많이 이용 했다. 그래서 .. ♣충주관광♣/문화소식·문화유적 2011.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