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관광♣/한국문화

문경 고모산성

충주시홍보대사/김광영 2011. 4. 25. 10:10

 

 

문경 고모산성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고모산성 소개

 

문경고모산성은 경북 문경시 마성면 신현리 산 30-3(임) 일대의 고모산(231m)에 위치하고 있다. 고모산은 신현리 북동쪽에 솟아있는 오정산(812m)에서 남서쪽으로 뻗어 내린 산줄기가 영강과 만나는 지점에서 다시 솟은 구릉성 야산에 속한다.

 

산성의 서쪽 일대가 강안과 접하고 있다. 영강은 낙동강 최상류에 해당되며, 북쪽에서 흘러내리는 조령천과 가은천이 고모산 일대에서 합류하여 남쪽으로 흘러 낙동강에 유입된다. 산성의 동쪽으로 옛길인 영남대로가 지나가고 있는데 영강변을 따라 단애면 중턱을 깎아 조성한 관갑천잔도(串岬遷棧道 일명 토끼비리)가 석현성 진남루 관문과 돌고갯길을 따라 북쪽 충주방향으로 이어지고 있다.

 

산성 아래로는 신라 고분군이 남동사면 일대에 넓게 분포하고 있다. 성벽은 북쪽 정상부가 있는 봉우리(231m)와 남쪽 봉우리(193m)의 능선을 연결하여 사방으로 성벽을 축조하였으며, 서쪽은 봉우리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계곡의 하단부를 가로질러 연결하고 있다. 계곡부를 포함한 포곡식 형태이며, 지형적으로 배후에 해당하는 북쪽이 높고 남쪽이 평탄대지를 이루는 사모봉형의 산성이다.

 

이러한 입지조건은 삼국시대 산성이 입지하는 일반적인 조건을 갖추고 있다 하겠다. 산성의 전체 둘레는 1,300m로 동벽 345m, 북벽 300m, 서벽 375m, 남벽 280m의 규모이다. 평면모습은 북서쪽으로 약간 기울어진 평행사변형 모습으로 남북방향을 장축으로 하고 있다. 축조 재료는 전체 구간을 석축하였으며, 대부분의 성벽에서 내외겹축의 성벽이 확인되고 있으나, 일부 구간에서는 지표상으로 내측 성벽이 확인되지 않고 있는 지점이 있다.

 

그러나 이곳 또한 지하에 내측 성벽이 매몰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성내 시설물은 동서남북의 4개소에 문터가 남아 있으며, 남동쪽 회절부와 북동쪽 회절부에 곡성을 축조한 것이 확인된다. 또한 북동쪽 회절부의 곡성은 후대 성벽을 개축하면서 치성으로 고쳐 쌓은 흔적이 확인된다. 지표상으로 1개의 수구가 확인되었으나, 2005년 발굴조사를 통하여 수구가 2개임이 밝혀졌다. 수구지 내측은 넓은 삼각형의 평탄지로 이곳에 연못과 같은 저수시설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